티스토리 뷰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국세청에서 15일 부터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오픈했습니다. 2021년도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접속방법과 사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접속방법 안내
국세청 홈텍스 홈페이지로 들어가세요
- 주소 : www.hometax.go.kr/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 연말정산 간소화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클릭하시고 오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됩니다.
아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시고 인증방법을 클릭해주세요.
작년도 공인인증서가 폐지되면서 공동인증서와 간편인증 로그인이 생겼는데요. 간편인증로그인은 PC에서만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간편인증 로그인이 되는 것은 15일 현재 5개 서비스만 유효 합니다. 가능한 업체는 아래 사진 참고해주세요
현재 페이코, 카카오톡, KB모바일 인증서, 통신사 인증서(SKT,KT,LG U+), 삼성패스 5가지 인증서만 간편인증이 가능합니다. 네이버는 아직까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없네요.
다른서비스는 현재 공공분야 전자서명 확대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으로 보안성 검증 등을 받은 인증서비스만 제공하고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향후에는 추가로 다른 인증서들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본인인증 방법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중 1개를 선택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저는 간편인증을 선택했습니다.
통신사 인증서를 선택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이름 주민등록번호는 자동으로 입력이 되고, 휴대폰 번호만 입력하고 전체동의한 후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게 됩니다.
휴대폰에서 인증 진행을 한후 PC화면에서 인증완료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그 후 아래 사진과 같이 뜨게 되는데 월을 지정한 후 차례대로 클릭해서 금액 확인하시면 됩니다.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이용 순서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소득 세액공제 이용 순서는
1. 적용 월 선택(근무하지 않은 월은 선택 해제)
2. 각 공제 항목 선택하여 조회
3. 내용 확인(출력하지 않을 자료는 선택 해제)
4. 출력 및 내려받기(회사의 요구에 따라 출력하거나 PDF파일로 내려받기)
또는 공제신고서 작성(회사가 편리한 연말정산을 이용하는 경우 공제신고서 전산 작성)
5. 회사에 제출(출력물 PDF, 온라인 제출)
하시면 됩니다.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유의사항
○ 현재는 병원, 은행 등 영수증 발급기관에서 1월 13일까지 제출한 자료가 조회됩니다.
○ 1월 15일 이후 추가 제출한 자료는 1월 20일부터 제공할 예정입니다.
- 자료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영수증 발급기관에 국세청 제출 여부를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최종자료 제출일시는 ‘영수증 발급기관 연락처 안내’에서 확인 가능함)
※ 연말정산간소화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영수증 발급기관이 제출한 자료를 그대로 보여주므로 공제 요건 충족 여부를 근로자 스스로 확인하여야 합니다.
부양가족의 자료 조회를 위해서는 자료제공동의 절차가 필요합니다.(☞ 제공동의방법 내려받기)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브라우저 환경설정을 하면 보다 원활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국세청에서는 홈택스(손택스 포함)를 통해서만 연말정산간소화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말정산간소화 자료제출 안내문 외에 문자메세지(SMS)를 발송하지 않으니, 국세청을 사칭한 스미싱·파밍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원활한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연말정산간소화 사용시간이 개인별 30분으로 제한되오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시간이 만료되면 다시 접속하여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편리한 연말정산(공제신고서 전산작성 등)은 1월 18일부터 이용 가능합니다.
○ 근로자가 연말정산 시 ①공제누락, ②부당공제, ③합산신고* 누락한 경우 5월 달에 종합소득세를 직접 신고해야 하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20년도 중에 회사를 옮긴 경우 또는 여러 회사에서 급여를 받은 경우에는 12월 말 현재 근무지 또는 주된 근무지에서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하여야 함